한국/동아시아
아가는 예뻐 중국을 혐오하게 만드는 근본 "따마"
2025-03-15 19:11 | 조회수 : 58 | 댓글 : 0

나무위키 - 따마 : https://namu.wiki/w/%EB%94%B0%EB%A7%88

<따마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이미지 - 광장에서 집단으로 무용을 하는 아줌마들>


"전세계에 중국인들에 대한 부정적인 스테레오타입을 집대성한 그 자체가 된 세대로, 중국 안에서건 중국 밖에서건 특유의 아줌마 근성과 파워로 전세계를 휘젓는 중국 내 가장 강력한 세대집단"

나무위키에서도 첫 구절에 설명하고 있지만, 중국 혐오의 근본이 바로 따마이다.

"전투종족으로 유명한 K-아줌마의 상위호환"

과연 상위호환 정도일까?


따마 세대와 중국의 현대사를 한번 살펴보면 따마의 기원에 대해 이해가 가능하다.


<대약진 운동>


<문화대혁명>


주로 1940년대 후반에서 부터 1960년대 초반생이다.

중국이 국공내전으로 전국이 초토화 된 직후 시작된 대약진 운동의 시기가 10년여간 벌어졌다.

중국 역사상 중국인이 가장 많이 죽은 시절이다.

내전과 일본의 침략 전쟁이 동시에 일어났고, 일본군에 의한 대량 학살이 벌어졌던 그 시기보다 더 많이 죽었다.

전쟁도 아닌 시기에 대량으로 사람들이 죽었나갔다면 그 시절에 태어나고 살았던 사람들의 생활양식은 어떻게 진화했을지 대략 짐작 할 수 있다.

대약진운동 이후, 일어났던 문화대혁명

그 문화대혁명을 이끌었던 홍위병 세대가 바로 "따마", "따예"(아저씨) 이다.

문화대혁명을 뭐 이러니 저러니 평가하지만, 일반인의 입장에선 좀 있어 보이는 사람들을 막무가내로 모조리 잡아 족치던 야만의 시대이다.

잘못 손가락질 당했다가 사회적 매장 또는 죽음까지도 당할 수 있던 시절이다.

1976년까지 벌어진 문화대혁명 이후 대하방운동으로 자발적으로 시골로 쫓겨났다.

1980년대 시작된 개혁개방의 시기 발전하는 중국의 경제적 확장 덕분에 오히려 땅부자, 기회의 혜택을 가장 극적으로 받은 세대이다.

그러면서도 공산주의의 사회 보장 혜택도 아마 가장 거대하게 받을 세대이기도 할 것이다.


비문명적이고 야만적인 인생을 살았으면서 그덕에 경제적 혜택을 가장 크게 받은 아이러니한 세대인 것이다.


이 세대의 특징은 막무가내인것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일단 살아남아야 한다는 것을 대약진운동을 통해 체득했고

내가 손가락질 당하지(단순 왕따가 아니라 삶이 박살나는..) 않으려면 먼저 남을 손가락질 해야 한다는 것을 문화대혁명을 통해 체득했고

이런 시기를 거치면서 아무런 교육을 받지 못한 무지성의 인간이 되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공(주로 경제적)을 이뤘으니 

이들에게 자신의 삶의 방식이 곧 길이요 진리라는 것에 확신을 가지게 된 것이다.


오로지 자신의 확실만으로 가득찬 이 세대의 2대, 그리고 손주인 3대도 

무엇을 보고 배웠을까?

확신에 가득찬 부모, 조부모 세대의 영향을 안 받을리가 없을 것이다.


<중국 학교의 군사교육>


중국의 교육을 보자

대약진운동으로 중국 사회가 초토화 되면서 당연히 교육을 끝장 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남은 중국의 교육은 문화대혁명으로 없어져 버렸다.

가장 중요한건 학교라는 시설 체계가 아니라 교육자가 사라져 버린게 가장 치명적이였다.

한국은 전쟁 와중에도 교육을 이어나갔다.

건물이 없어더 야외에서 교육을 이어나갔다, 교육자는 그대로 있었으니깐

중국은 이 교육자가 몽땅 사라져 버린 것이다.

1976년에 문화대혁명이 끝나고 다시 학교가 재개되었지만

선생님 없는 학교에서 뭘 배웠을까?

이 세대를 "자습세대" 라고 부른다고 한다.

초중고(약 12년) + 대(4년) 을 그냥 자습만한 세대다.

그리고 그렇게 양산된 학생이 다시 선생이 되어 학생을 가르친다.

무지성의 세대, 딱 그 세대가 바로 따마 세대이고 그들이 다시 현재 중국인을 양산한 것이다.

그 세대가 중국의 주요 핵심 당직자이고 중국의 기득권인 것이다.

중국의 국가 정책도 곧 따마 세대의 가치관에서 크게 벗어날 수 없는 이유인 것이다.

A PHP Error was encountered

Severity: Warning

Message: Attempt to read property "question" on bool

Filename: home/view_v2.php

Line Number: 302

Backtrace:

File: /var/www/html/dotoron.api.v3/application/views/home/view_v2.php
Line: 302
Function: _error_handler

File: /var/www/html/dotoron.api.v3/application/controllers/Board.php
Line: 168
Function: view

File: /var/www/html/dotoron.api.v3/index.php
Line: 315
Function: require_once

0
0
카카오톡 공유 보내기 버튼 트위터로 보내기 페이스북 보내기 스크랩 신고하기

Copyright © Ubuno All Rights not reserved.